경고 - 작업중 오류가 발생하여 하드가 벽돌이 될 수 있으므로 모든 작업은 각자의 책임 하에 진행할 것

 

시놀로지의 저장소 관리자 - HDD/SSD 항목 제일 마지막에 "4K 기본 하드" 라는 항목이 있는데 대부분 "아니요"라고 되어있을것이다.

 

최근 고용량 하드는 모두 4k byte sector  (4Kn 모드)  를 지원한다고 하지만 대부분 4k byte sector 모드를 쓰지 않고  기존 512 byte sector (512 모드) 와 호환되는 512e 모드를 사용한다.

 

확인 방법 )

fsutil fsinfo sectorInfo X:   [엔터]

X 는 HDD 드라이브 레터

logical sector 512 byte , physical sector 4096 byte 라고 나올것이다

 

 

아래 방법을 이용해 4Kn 모드를 활성화해보자

 

 

[Western Digital HDD]

 

출처)

community.wd.com/t/how-to-format-wdbwlg0040hbk-from-512e-to-4kn/222085/5

 

How to format WDBWLG0040HBK from 512e to 4kn

So, I did it, thanks to a post on https://forums.servethehome.com/index.php?threads/please-help-convert-hgst-he10-and-he12-to-4kn.27668/ and a hidden WD utility called Hugo. Do this at your own risk, it is possible to brick your drive using this procedure.

community.wd.com

superuser.com/questions/1576894/how-to-convert-the-western-digital-ultrastar-dc-hc530-14tb-hdd-from-512e-to-4

 

How to convert the Western Digital "Ultrastar® DC HC530 14TB HDD" from 512e to 4Kn sector size? (In Windows 10)

Background The Western Digital "Ultrastar® DC HC530 14TB HDD" (Model number: WUH721414ALE6L4)(SATA Interface) comes only in a 512e sector size by default. According to the 2 Western Digital

superuser.com

forums.servethehome.com/index.php?threads/please-help-convert-hgst-he10-and-he12-to-4kn.27668/

 

please, help convert HGST He10 and He12 to 4kn

Hello! i'm trying to convert my HGST He10 and He12 sata drives from 512e to 4kn using sg_format utility as others mentioned it should help, but only i got is this: # sg_format --format --size=4096 /dev/sdc ATA HGST HUH721010AL W21D peripheral_type: disk [0

forums.servethehome.com

다운로드링크)

www.mediafire.com/file/zhfnbttx181hg68/hugo-7.3.2-WIN_and_Linux.zip/file

 

hugo-7.3.2-WIN_and_Linux

 

www.mediafire.com

 

ㅇ 위의 링크들에 나온 방법은 아래와 같다.

 

0.  fsutil fsinfo sectorInfo X:   [엔터]

X 는 4k 로 바꿀 WD HDD 드라이브 레터

logical sector 512 byte , physical sector 4096 byte 라고 나올것이다

 

2.  hugo 를 다운받아 설치

 

3.  hugo s --device  [엔터]

화면에  " \\.\PhysicalDrive<n> " 라는 부분을 복사

 

4.  hugo format -g \\.\PhysicalDrive<n> -b 4096 --fastformat   [엔터]

warning 이 나오지만 Y 로 진행하면

USB 외장 하드인 경우 100% fail 이라고 뜬다.

아무키나 눌러서 종료하면 된다.

이 USB 는 더이상 윈도우에서 인식되지 않으므로 당황하지 말고 분해를 한 후 Synology 에 넣으면 4K 기본 HDD 가 "예"로 인식된다.

 

윈도우는 4Kn 을 지원한다고 하니  USB 외장하드 컨트롤러가 512 byte 섹터만 지원하기때문이라고 의심이 된다.

 

USB 가 아닌 SATA 로 연결해서 작업한 경우 에러가 나지 않고 정상적인 포멧까지 완료되고 윈도우에서 인식, 사용이 가능한지는 테스트 해보지 않았다.   이부분은 해본후 업데이트 예정. 해본분의 답글도 환영한다.

 

 

 

[시게이트 하드]

출처)

www.truenas.com/community/threads/how-to-convert-512e-to-4kn-using-fast-format-seagate-exos-x16-drive.84094/

 

How to convert 512e to 4Kn using Fast Format (Seagate Exos X16 drive) ?

I'm planning to purchase some Seagate Exos X16 (model ST16000NM001G) 16TB drives. They come formatted in 512e by default, but they support "Fast Format" to convert to 4Kn so that they appear as a true 4Kn to the OS. This is documented in the Seagate docume

www.truenas.com

다운로드 링크)

www.seagate.com/support/software/seachest/

 

SeaChest Utilities | Seagate Support US

 

www.seagate.com

 

1.  SeaChest_Lite --scan  [엔터]

device PDx 라는 부분을 복사한다.

 

2.  SeaChest_Lite --device PDx --showSupportedSectorSizes  [엔터]

지원여부 확인

 

3.  SeaChest_Lite --device PDx --setSectorSize 4096  [엔터]

 

* 시게이트 EXOS 하드는 직접 해보지 못했다.  해본후 업데이트 예정. 해본분의 답글도 환영한다.

  

Centos 설치후 할 일

Posted by TheFanStory Linux/centos : 2021. 4. 13. 11:37

ㅇ CentOS 7

 

- 설치시 network 설정 안했으면 네트워크가 올라오지 않는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ifcfg 뒤 문자열은 다를 수 있으므로 tab 으로 찾아서 수정)

ONBOOT=yes 수정후 저장

 

 

-  ifconfig 설치

yum install net-tools

 

  

기본적으로 1 Gb 랜카드 하나로는 100 MB/s 가 네트워크 전송의 한계이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2.5 Gbit 카드 ( Realtek Dragon 칩셋 ,  Intel i225 칩셋, ... ) 나   10 Gbit 랜카드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대안들은 HUB 또한  2.5 Gb , 10 Gb 를 지원해야하므로 많은 비용이 추가된다.

( PC 와 NAS 를 1:1 로 연결하는것은 예외지만 특수한 경우이므로 예외로 한다. )

 

대안으로 1 Gb 랜카드를 2개 이상을 묶어서 사용하면 그만큼 대역폭을 늘릴 수 있다.

이것을  SMB 3.0 Multichannel 이라고 한다.

 

일반 PC 라면 pcie , pci 확장 슬롯에 Gbit ethernet card 로 확장할 수 있지만 타오나스의 경우 확장슬롯이 없기때문에 USB 3.0 Lan Card 를 이용해야한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검색해보면 많은 USB 3.0  Gbit ethernet 제품이 있는데  $6 ~ $7 정도의 단독 제품보다는  USB 3.0 Hub 기능이 포함된 제품을  $10 ~ $11 정도에 구매하는것을 추천한다.

 

이런 제품들은 99 % 가 Realtek RTL8153 칩셋을 사용하고있는데  Synology 에는 기본적으로 예전에 많이 쓰던 ASIX  AX88179  Gbit ethernet 드라이버만 제공되어  Realtek 이 인식이 되지 않으므로 아래 방법으로 Realtek 드라이버를 설치해주자.

 

(알리 익스프레스에 AX88179 칩셋을 쓴 USB Gbit ethernet 단독 제품도 있지만 가격이 $15 이상으로 비싸므로  드라이버가 없는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Realtek 8153 칩셋을 사용한 저렴한 허브형 제품을 구매하자.)

 

 

ㅇ DSM driver for realtek RTL8152/RTL8153/RTL8156 based USB Ethernet adapters

github.com/bb-qq/r8152

 

bb-qq/r8152

Synology DSM driver for Realtek RTL8152/RTL8153/RTL8156 based adapters - bb-qq/r8152

github.com

설명된대로  release 페이에서 appololake 파일을 다운로드 후 

패키지센터

ㄴ 수동 설치

ㄴ 다운받은 파일 선택

하여 설치 후 재부팅한다.

 

참고로 이 드라이버에는 RTL8156  2.5 Gbit ethernet  드라이버도 포함되어있다.

 

 

ㅇ 재부팅해도 인식이 안된다면 아래 사항을 확인해서 수정한다.

 

제어판 - 보안 - ssh 서비스 활성화 체크

putty 로 ssh 접속 ( id / pw 입력 )

sudo -i 로 admin 권한

/etc/synoinfo.conf 와 /etc.defaults/synoinfo.conf  에서  maxlanport="x" 항목을 찾아 ( vi 에서 "/" 입력후 maxlan 엔터 ) x 를 4로 수정 후 저장

재부팅

 

( 처음 시놀로지 부팅 usb 를 만들때 max lan 항목을 수정하면 편하다 )

 

 

ㅇ SMB 3.0 멀티 체널 설정

 

[곧 작성 예정]

 

 

  

ㅇ NAS 용 하드는 웬디, 시게이트의 외장 하드를 직구하고 적출해서 사용한다

 

그 이유는 CMR 하드를 국내에서 파는 하드 단품 가격의 절반 가격에 살 수 있기 때문이다.

NAS 에는 절대 SMR 하드를 사용하면 안된다.

 

 

Seagate Barracuda Pro 의 경우 8 TB 국내 가격이 391,500 원, 

Seagate Expansion 외장 하드는 아마존 상시세일가격이  $144 이다

싸게 배송대행을 이용하면 18만원 이하에 살 수 있고 세일 이벤트를 하면 더 싸게 구매 가능하다.

절반 이하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것이다.

 

고용량으로 갈 수록 직구의 가격 메리트가 있다.

12 TB 가 대략 $190 정도의 상시 세일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14 TB 의 경우 핫딜로 $199.99 에 풀리는게 있는데 반드시 잡자.

 

8TB 이상의 외장하드라면  WD EasyStore , WD Elements , Seagate Expansion 어느것을 사도 무방하다.

WD 는 모두 NAS 용 고급 하드  ( 화이트, 5400 rpm) 가 들어있고 

시게이트 10 TB 에는 Barracuda PRO 또는 IronWolf PRO ,  12 TB 이상의 시게이트 외장하드에는 IronWolf 보다 상급인 최상급 기업용 EXOS 하드가 들어있다.

 

WD 는 외장 하드 케이스 구석에 신용카드를 넣어서 살살 밀면 손상 없이 분해가 가능하지만  Seagate 외장 하드는 구조상 분해하면 반드시 걸쇄가 부러지게 되어있다.  Seagate 는  RMA 는 포기하고 고장이 안나기를 빌자.

하드를 빼내고 남은 외장 하드 케이스는 다른 저용량 HDD 를 넣어서 재활용이 가능한데,

WD EasyStore 나 WD Elements  케이스는 WD 이외의 하드를 넣을 경우 호환성 문제가 발생 , 하드는 보이는데 IO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는 하드 기판 하단에 있는 Winbond 칩셋의  7,8 번 핀을 니퍼 등으로 잘라버리면 된다.

Winbond 칩셋 인쇄된 이름 기준으로 왼쪽 위 두개가 7,8 번 핀이다.

 

8  7  6  5

Winbond

1  2  3  4

 

 

 

 

배송대행은 가지다, 직구직구, 몰테일 등등 여러 업체가 있으니 외장하드 고정배송비 이벤트를 하는곳을 찾아서 이용한다.

 

 

WD 의 경우 국내 WD 총판인 명정보에서 해외 RMA 를 대행해주기때문에 AS 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Seagate 는 해외 RMA 를 직접 해야한다(분해 안하고 외장하드 그대로 쓸 경우).

 

ㅇ 시게이트 RMA 방법

www.ppomppu.co.kr/zboard/view.php?id=oversea&no=694784

 

시게이트 직구 하드 RMA 하기

시게이트 하드는 과거 높은 불량율로 인해 인기가 없는 하드입니다만...혹시라도 필요하신 분이 계

www.ppomppu.co.kr

 

 

ㅇ 외장 하드를 받은 후에는 바로 케이스를 뜯지 말고 정상적인 용량의 제품이 왔는지 , 운송중 배드섹터가 발생했는지 검사한다.

 

미국 양아치들이 제품을 받은 후 저용량하드로 바꿔치기해서 반품한것을 판매자가 모르고 그대로 발송한 것을 받은 피해사례가 있으니 배송 대행지와 직접 배송의 가격차가 크지 않다면 직배를 이용해서 받는게 좋다.

 

하드 디스크 검사는 Western Digital 에서 제공하는 Data LifeGuard Diagnostics 를 추천한다.

 

support.wdc.com/downloads.aspx?lang=kr

 

WD 소프트웨어

List of all WD firmware and software available for download.

support.wdc.com

Quick Test 후 Extended Test 까지 진행하는게 좋다.

 

 

보다 정확한 하드의 SMART 정보를 알고싶으면 Crystal Disk info 를 이용하고,

배드섹터의 정확한 위치를 알고싶으면  명정보의 GM HDD Scan 도 좋다.

 

주의할점은, 어느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어마어마한 시간이 소요된다.

Data LifeGuard Diagnostics 은 8 TB 테스트에 69 시간(!) 을 요구했다.

이쯤되면 그냥 시놀로지에 넣고 자체 테스트에 맡기는것도 괜찮은 선택이다.

 

 

 

ㅇ 적출한 외장 하드의 이모저모

 

WDC WD80EMAZ-00M9A0 , 8 TB ( 실용량 7.3 TB ) , FW 81.00A81 ( 5400 rpm 표기, 실제로는 7200 rpm  )

ㄴ 42 도  @베이1 (최상단)  :  풀로드상태

 

Seagate ST14000NM001G-2KJ103 , 14 TB ( 실용량 12.7 TB ) , FW SN02

ㄴ 37 도 @베이4 (최하단)   :  풀로드상태

 

※ 하드디스크는 35~45도, 평균 39도에서 에러율이 가장 낮고, 사용기간이 3년 이하인 하드는 낮은 온도에서,  3년 이상 사용한 하드는 높은 온도에 특히 취약하다. 

 

 

WDC 8 T -> Seagate 14 T  복사 :  약 150 MB/s  , CPU 점유율 약 15 ~ 20 % , 8 T 용량 복사에 약 15 시간 소요 !

 

  

ㅇ RAID 종류

 

Raid 0 : stripe , 용량저하 없지만 데이타 보호 기능 없음.

Raid 1 : mirror , 동일한 데이타를 중복저장, 용량은 50% 로 줄어든다.

Raid 5 : 하드 3개 이상 필수, 하드 하나를 parity bit 로 사용하여 데이타를 보호한다. 하드 고장 1개까지 복구 가능.

Raid 6 : 하드 4개 이상 필수, 하드 두개를 parity bit 로 사용하여 데이타를 보호한다. 하드 고장 2개까지 복구 가능.

 

 

ㅇ SHR ( Synology Hybrid Raid )

 

시놀로지에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면서 최대한 부가작업 ( 데이타 이동 , 재포멧, ... ) 을 줄일 수 있는 레이드 구성이다.

2개 이상의 하드를 사용할 경우 데이타 보호를 제공한다.

( 하나의 하드가 고장나도  고장난 하드만 교체하면 데이타 손실 없이 복구 가능 )

 

하드 하나일때 : 일반 볼륨과 동일.

하드 2개 일때 : raid 1 으로 작동.

하드 3개 이상일때 : 여기부터 raid 5 로 작동

 

raid 5 와 shr 이 다른 점은  shr 의 경우 하드의 남는 용량을 별도의 파티션으로 분리, 새로운 볼륨을 생성한다.

 

예) 8 T + 12 T + 12 T 일때 

raid 5 : 각 하드의 8 TB 용량을 raid 5 로 묶어서 만든 16 TB 만 사용 가능, 나머지 용량은 버린다.

shr : 각 하드의 8 TB 용량을 raid 5 로 묶어서 만든 16 TB +  12TB 두개의 남는 용량 4 TB 2개를 raid 1 으로 묶어서 4 TB 용량 사용 가능 =   총 사용 가능 용량 20 TB

 

 

 

시놀로지 홈페이지에서 미리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www.synology.com/ko-kr/support/RAID_calculator?hdds=

 

RAID Calculator | Synology Inc.

이 RAID유형에 대해 HDD가 충분치 않음. 더 많은 HDD를 끌어옵니다

www.synology.com

예)  8테라로 시작해서 12테라 , 14테라를 추가한 후 저용량(?)을 계속 14테라로 바꿔간다고 가정해보자

( $199 이하 하드 기준 )

 

8    :   8 TB 사용가능 

8 + 12 :  20 TB 중  8 TB 사용 가능 ,  데이타 보호 작동 시작  (공간낭비 60%)

8 + 12 + 14   :  34 TB 중  20 TB 사용 가능 (공간낭비 41%)

8 + 12 + 14 + 14 :  48 TB 중 34 TB 사용 가능  (공간낭비 30%) 

14 + 12 + 14 + 14 :  54 TB 중 40 TB 사용 가능 (공간낭비 26%)

14 + 14 + 14 + 14 :  56 TB 중 42 TB 사용 가능 (공간낭비 25%)

 

* 데이타 보호를 위해 최소 25% 의 공간이 필요하다.

 

8+12 일때 60%가 넘는 공간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때가 가장 낭비가 심한 구간이다.

이런 공간 낭비는 두 하드간의 용량 차이가 클수록 더 심하다

극단적이지만  2 + 14 구성일 경우 2 TB 만 사용 가능하고 14 TB 의 공간은 사용할 수 없다.

 

첫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추후 확장할 하드보다 용량이 너무 작다면 SHR 로 하지 말고 일반 볼륨으로 생성하는것도 방법이다.

  

 

[usage]

 

dd if=소스  of=타겟 bs=버퍼사이즈 count=복사할섹터수 status=progress

 

[example]

 

dd if=/dev/sdb of=/dev/sdc bs=10M status=progress

(/dev/sdb 를 /dev/sdc 로 복사, 버퍼 사이즈를 크게 두면 속도가 빨라진다)

 

dd if=/dev/zero of=test.bin bs=1K count=100

(100K 크기를 갖는 aa.bin 파일이 생성)

 

dd if=/dev/zero of=/disk1/t1 bs=65536 count=2000 oflag=direct
(디스크 속도 측정하기 (or  Disk IO 부하주기))


[options]

status 옵션중 progress는 coreutils >= 8.24 부터 지원
Ubuntu 16.04 에서는 기본버전이 8.25가 탑재되어있어 사용이 가능하다.

 

bs=BYTES : 한번에 BYTES씩 읽어들이고 출력. ibs와 obs를 한번에 지정한 것과 같음 ((ibs, obs 값 무시)

cbs=BYTES : 한번에 BYTES씩 변환작업을 함

conv=CONVS : ,로 분리된 단어들을 파일로 변환

count=BLOCKS : 입력블록의 ibs크기만큼만 복사

ibs=BYTES : 입력단위로 한번에 BYTES 단위로 읽어 들임

 

if=FILE : 표준입력대신 지정된 파일을 입력으로 받음

obs=BYTES : 출력단위로 한번에 BYTES 단위로 출력

of=FILE : 표준출력대신 지정된 파일에 출력

seek=BLOCKS : 출력시작시 지정된 BLOCKS의 단위만큼 obs 크기를 건너뛰고 출력을 시작함

skip=BLOCKS : 입력시작시 지정된 BLOCKS의 단위만큼 ibs 크기를 건너뛰고 입력을 시작함

 

oflag=flag : 표준출력 파일에 사용되는  flag 옵션

(flag가 direct 시, output 파일에 buffer cache를 사용하지 않고 다이랙트로 I/O를 한다)

 

 

ascii : EBCDIC 코드를 ASCII 코드로 변환함

ebcdic : ASCII 코드를 EBCDIC 코드로 변환함

ibm : ASCII 코드를 EBCDIC 코드로, EBCDIC 코드를 ASCII 코드로 변환함

block : cbs로 변환작ㄱ업과정에서 입력문자내에 있는 개행문자들을 공백문자로 변환함

unblock : block와는 반대로 cbs로 변환작업과정에서 입력문자내에 있는 공백문자들을 개행문자로 변환함

 

lcase : 영문대문자를 영문소문자로 변환

notrunc : 출력파일을 자르지 않고 출력

ucase : 영문 소문자를 영문대문자로 변환

swap : 입력된 두바이트를 바꿈

noerror : 입력데이터를 읽을 때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계속 진행

sync : 입력된 ibs와 출력하는 obs사이에 차이가 있을 경우 그 여백공간을 NULL 문자로 채움

 

dd의 입출력시에 사용되는 단위들

c : Character, 1byte

w : Word, 2bytes

k : Kilo Bytes, 1024bytes

b : Block, 512bytes

 

 

[PV 를 이용한 진행 상태 보기, Example Assuming a 2GB disk being copied from /dev/sdb ]

 

- command

sudo dd if=/dev/sdb | pv -s 2G | dd of=DriveCopy1.dd bs=4096

 

- output

440MB 0:00:38 [11.6MB/s] [======> ] 21% ETA 0:02:19

 

 

 

[reference]

 

https://ko.wikipedia.org/wiki/Dd_(%EC%9C%A0%EB%8B%89%EC%8A%A4)

https://idchowto.com/?p=29229  

(Pipe Viewer  , dialog 화면과 연동한 방법도 소개)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iru3300&logNo=9014930807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https://askubuntu.com/questions/215505/how-do-you-monitor-the-progress-of-dd

  

Flex 대신 jellyfin 을 운용해보자 (@docker)

Posted by TheFanStory Linux/ubuntu : 2019. 11. 7. 14:49

 

 

ㅇ docker 가 아닌 직접 설치 :  https://www.ostechnix.com/how-to-setup-linux-media-server-using-jellyfin/ 

 

ㅇ jellyfin 공식 설치 안내 :  https://jellyfin.org/docs/general/administration/installing.html

 

공식 홈페이지가 대놓고 docker 부터 설명하고있으니 우리도 docker 로 설치해보자.

직접 설치는 링크 참고.

 

[ Installing Jellyfin ]

 

The Jellyfin Docker image is available on Docker Hub for multiple architectures.

  1. Get the latest image:
    docker pull jellyfin/jellyfin
  2. Create directories on the host for persistent data storage:
    mkdir /path/to/config
    mkdir /path/to/cache
  3. Start the server:
    docker run -d \
    --volume /path/to/config:/config \
    --volume /path/to/cache:/cache \
    --volume /path/to/media:/media \
    --net=host \
    jellyfin/jellyfin

여기에서 /path/to/ 는 각자 적당한 위치 ( /docker/jellyfin 등 ) 에 설정하면 된다.

/media 위치는 동영상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이다.

 

 

 

Alternatively, using docker-compose:

 

version: "3"

services:

       jellyfin: image: jellyfin/jellyfin

       network_mode: "host"

       volumes:

             - /path/to/config:/config

             - /path/to/cache:/cache

             - /path/to/media:/media

 

 

 

[ Quick Start ]

 

  1. Install Jellyfin on your system.

  2. Browse to http://<yourmachine>:8096

  3. Follow the initial setup wizard.

  4. Secure the server with a method of your choice.

    • Create an SSL certificate and add it on the Networking page.
    • Put your server behind a reverse proxy.
    • Only allow local connections and refrain from forwarding any ports.
  5. Enjoy your media.

 

 

 

[ Port Bindings ]

공유기에서 포트바인딩 할때 참고

 

Server port bindings

This document aims to provide an admin with knowledge on what ports Jellyfin binds and what purpose they serve.

 

Static ports

  • 8096/tcp is used by default for HTTP traffic. This is admin configurable.
  • 8920/tcp is used by default for HTTPS traffic. This is admin configurable.
  • 1900/udp is used for service autodiscovery. This is not admin configurable as it would break client autodiscover.

Dynamic ports

  • Completely random UDP port bind. It picks any UDP port that is unused on startup. It is used for specific LiveTV setups involving HD Homerun devices.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ex Media Server 설치 (@docker)  (0) 2019.11.07
DOCKER 소개 및 설치, 기본 명령어 소개  (0) 2019.11.07
ubuntu 시스템 정보 확인  (0) 2019.11.07
  

Flex Media Server 설치 (@docker)

Posted by TheFanStory Linux/ubuntu : 2019. 11. 7. 13:28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blog.knowledgebox.online/linux/lnx-plex-with-docker/

 

Docker로 Plex Media Server 설치하기

Docker를 사용하여 Plex Media Server를 설치하는 방법 정리

blog.knowledgebox.online

 

 

더보기

[ Flex Media 설치 ]  @ docker

Docker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간단한 방법은 터미널에서 docker run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설정이 복잡하지 않을 때는 docker run 명령어로 실행하는 것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설정이 복잡해질 경우에는 명령어가 굉장히 복잡해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조금 더 편리한 사용을 위해 YAML 방식의 설정 파일을 이용하는 docker-compose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할 예정입니다.

 

 

 

1. 환경설정

 

홈디렉토리에 Docker 및 Plex Media Server의 설정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아래와 같이 생성합니다.

[계정@localhost ~]$ > mkdir ~/docker [계정@localhost ~]$ > cd docker [계정@localhost ~/docker]$ > mkdir plex [계정@localhost ~/docker]$ > cd plex [계정@localhost ~/docker/plex]$ > mkdir config

 

 

docker-compose.yml 파일을 다음과 같이 생성합니다.
자신의 환경에 맞게 수정하세요.

 

[계정@localhost ~]$ > cd ~/docker

[계정@localhost ~/docker]$ > vim docker-compose.yml

 

version: '2'

services: plex:

  container_name: plex

  image: plexinc/pms-docker

  restart: unless-stopped

  networks:

    - UDN_Service

  ports:

    - 32400:32400/tcp

    - 3005:3005/tcp

    - 8324:8324/tcp

    - 32469:32469/tcp

    - 1900:1900/udp

    - 32410:32410/udp

    - 32412:32412/udp

    - 32413:32413/udp

    - 32414:32414/udp

  volumes:

    - /storage/public:/data

    - /home/계정/docker/plex/config:/config

  environment:

    - PLEX_UID=1000

    - PLEX_GID=100

    - TZ=Asia/Seoul

    - VERSION=latest

    - PLEX_CLAIM=claim-TB4R~~~~~와 같은 claim token

    - ADVERTISE_IP=http://외부에 공개할 IP 주소 또는 URL:32400/

  hostname: 사용할 Plex Media Server 이름

networks:

  UDN_Database:

    external:

      name: UDN_Database

  UDN_Service:

    external:

      name: UDN_Service

 

 

* networks:
docker-compose가 생성하는 기본 네트워크가 아닌 별도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항목을 설정하지 않으면 docker-compose가 생성하는 기본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docker-compose.yml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명_default와 같은 이름으로 생성됩니다.
docker-compose.yml에 지정된 모든 Docker 컨테이너는 별도 설정이 없을 경우 기본적으로 docker-compose가 생성한 기본 네트워크에 연결됩니다.

 

[계정@localhost ~/docker]$ > docker network ls

NETWORK ID NAME DRIVER SCOPE

3640e59420fe UDN_Database bridge local

e38fb7c9fe3c UDN_Service bridge local

4398feaef58e bridge bridge local

f780747b759b docker_default bridge local

4756bb8ee162 host host local

0bedac919e79 none null local

 

networks:에서 지정한 네트워크는 docker-compose.yml 파일에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Database용 네트워크(UDN_Database)와 서비스용 네트워크(UDN_Service)로 각각 설정하였고, Plex Media Server 컨테이너는 UDN_Service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지정하였습니다.

 

networks:

  UDN_Database:

    external:

      name: UDN_Database

  UDN_Service:

    external:

      name: UDN_Service

 

 

Docker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계정@localhost ~/docker]$ > docker network create --driver bridge --subnet 10.10.10.0/24 --gateway 10.10.10.1 UDN_Database

[계정@localhost ~/docker]$ > docker network create --driver bridge --subnet 10.10.20.0/24 --gateway 10.10.20.1 UDN_Service

 

 

* volumes: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와 Host PC의 디렉토리 연결을 위한 항목입니다.

/storage/public:/data는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Host PC의 /storage/public 디렉토리를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의 /data 디렉토리에 연결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설정을 사용해 Host PC의 컨텐츠를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der)를 통해 서비스 할 수 있습니다.

 

/storage/public을 자신의 환경에 맞게 변경하세요.

 

/home/계정/docker/plex/config:/config는 Host PC의 /home/계정/docker/plex/config 디렉토리를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의 /config 디렉토리에 연결한다는 의미입니다.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의 /config 디렉토리는 Plex Media Server의 설정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설정을 사용해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의 설정을 Host PC에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설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이런 경우 컨테이너를 삭제하면 설정이 초기화됩니다.
Plex Media Server의 설정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내부가 아닌 Host PC에 설정을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home/계정/docker/plex/config를 자신의 환경에 맞게 변경하세요.

 

 

* environment: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의 환경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입니다.

environment에서 중요한 항목은 PLEX_CLAIM과 ADVERTISE_IP입니다.
PLEX_CLAIM 코드는 https://plex.tv/claim에 접속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시간제한이 있으므로 유의하세요

ADVERTISE_IP는 외부에서 Plex Media Server에 접속할 수 있도록 IP 또는 URL을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ADVERTISE_IP를 설정하지 않으면 Plex Media Server가 실행되는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2. 실행

docker-compose.yml 파일을 생성한 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계정@localhost ~]$ > cd ~/docker 

[계정@localhost ~/docker]$ > docker-compose up -d plex

 

docker-compose.yml에서 plex라는 이름을 가진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d)로 실행(up)하라는 의미입니다.
-d 옵션을 주지 않으면 터미널 창을 닫을 때 Docker 컨테이너(Plex Media Server)가 같이 종료됩니다.

 

  

DOCKER 소개 및 설치, 기본 명령어 소개

Posted by TheFanStory Linux/ubuntu : 2019. 11. 7. 13:12

도커(Docker)는 2013년에 등장한 새로운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도구.

 

Host OS 위에 Guest OS 를 통째로 올리는 기존 가상화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초보자를 위한 도커 안내서]

 

https://subicura.com/2017/01/19/docker-guide-for-beginners-1.html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를 처음 접하는 시스템 관리자나 서버 개발자를 대상으로 도커 전반에 대해 얕고 넓은 지식을 담고 있습니다. 도커가 등장한 배경과 도커의 역사, 그리고 도커의 핵심 개념인 컨테이너와 이미지에 대해 알아보고 왜 이렇게 도커가 인기 인지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subicura.com

https://subicura.com/2017/01/19/docker-guide-for-beginners-2.html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설치하고 컨테이너 실행하기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2번째 글입니다. 도커의 기본적인 내용을 이야기 했던 첫번째 글에 이어 실제로 도커를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하면서 도커 명령어를 알아봅니다. 도커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아주 가볍게 자주 쓰는 명령어를 다루었습니다.

subicura.com

https://subicura.com/2017/02/10/docker-guide-for-beginners-create-image-and-deploy.html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이미지 만들고 배포하기

이 글은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설치부터 배포까지 시리즈의 마지막 글입니다. 지난 글에서 도커를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해 보았으니 이번엔 이미지를 만들고 서버에 배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bicura.com

 

 

 

[도커 무작정 따라하기]  (마지막에 책광고)

https://www.slideshare.net/pyrasis/docker-fordummies-44424016

 

도커 무작정 따라하기: 도커가 처음인 사람도 60분이면 웹 서버를 올릴 수 있습니다!

도커 무작정 따라하기 - 도커가 처음인 사람도 60분이면 웹 서버를 올릴 수 있습니다! 도커의 기본 개념부터 설치와 사용 방법까지 설명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가장 빨리 만나는 도커(Docker)를 참조해주세요~ http://www.pyrasis.com/private/2014/11/…

www.slideshare.net

[docker 란 무엇인가?  : docker 기본 사용법]  (위 도커 무작정 따라하기 요약판, 지막에 책광고)

https://www.slideshare.net/pyrasis/docker-docker-38286477?next_slideshow=1

 

Docker란 무엇인가? : Docker 기본 사용법

Docker란 무엇인가? : Docker 기본 사용법 Docker Seoul Meetup #1 발표 자료입니다. Docker 기본 개념과 사용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www.slideshare.net

 

 

 

 

도커 튜토리얼 : 깐 김에 배포까지

https://blog.nacyot.com/articles/2014-01-27-easy-deploy-with-docker/

 

nacyot의 프로그래밍 이야기 :: 도커(Docker) 튜토리얼 : 깐 김에 배포까지

도커(Docker)는 2013년에 등장한 새로운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도구입니다. 도커는 계층화된 파일시스템(AUFS, BTRFS 등)을 사용해 가상화된 컨테이너의 변경사항을 모두 추적하고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서 컨테이너의 특정 상태를 항상 보존해두고,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나(단, Docker가 설치만 되어있다면)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이 글은 Docker 입문자를 위한 튜토리얼로, 도커의 기본 개념들과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

blog.nacyot.com

 

 

 

 

더보기

[ DOCKER 설치]

아래 블로그를 참고

https://blog.knowledgebox.online/linux/lnx-plex-with-docker/

 

Docker로 Plex Media Server 설치하기

Docker를 사용하여 Plex Media Server를 설치하는 방법 정리

blog.knowledgebox.online

 

 

 

[ Docker 설치 ]

Docker는 기본적으로 Linux에서 동작합니다.
Windows 또는 Mac에서는 Docker for Windows 또는 Docker for Mac을 설치하세요.
필자는 Arch Linux에서 Docker를 설치하였지만, Docker의 특성상 다른 배포판에서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 Arch Linux

    [계정@localhost ~]$ > sudo pacman -Syu docker docker-compose

  • Ubuntu

    [계정@localhost ~]$ > sudo apt install docker docker-compose

조금 더 편하게 Docker를 사용하기 위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를 docker 그룹에 넣어줍니다.

[계정@localhost ~]$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재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서비스를 등록합니다.

 

      [계정@localhost ~]$ > sudo systemctl enable docker.service //서비스 활성화

      [계정@localhost ~]$ > sudo systemctl start docker.service //서비스 시작

      [계정@localhost ~]$ > docker info //서비스 확인

      [계정@localhost ~]$ > docker version //Docker 클라이언트 및 서버 정보 확인

 

 

 

 

 

 

[ DOCKER 기본 명령어 ]

 

 

ㅇ docke 설치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ㅇ sudo  없이 docker 사용하기

 

sudo su 

: root 권한 획득

 

또는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에게 권한주기

sudo usermod -aG docker your-user # your-user 사용자에게 권한주기

sudo service docker restart 

현재 계정에서 로그인 / 로그아웃

 

 

* docker 그룹은 root 권환과 동일하므로 꼭 필요한 계정만 포함

 

 

ㅇ docker version  

도커 버전 확인

 

 

ㅇ 컨테이너 실행하기

 

docker run [OPTIONS] IMAGE[:TAG|@DIGEST] [COMMAND] [ARG...]

 

옵션설명

-d detached mode 흔히 말하는 백그라운드 모드
-p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를 연결 (포워딩)
-v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디렉토리를 연결 (마운트)
-e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환경변수 설정
–name 컨테이너 이름 설정, 생략시 도커가 이름 자동 생성
–rm 프로세스 종료시 컨테이너 자동 제거
-it

-i와 -t를 동시에 사용한 것으로 터미널 입력을 위한 옵션

-i : interactive  , -t : pseudo-tty

–link

컨테이너 연결 [컨테이너명:별칭]

deprecated 되어 조만간 사용 불가되므로 docker network 기능을 사용하는것을 권장.

 

 

ㅇ docker 목록 확인하기

 

docker ps [OPTIONS]

 

ex) 

docker ps 

 

옵션설명

-a :  실행되었다가 종료된 컨테이너(Exited(0))가 추가로 보임, 종료된 컨테이너는 재시작할 수 있고, 명시적으로 삭제할 수도 있다.

--all : 

 

 

 

o 이미지와 컨테이너 세부정보 확인하기

 

docker inspect hello-nginx

 

 

 

 

ㅇ 컨테이너에서 파일 꺼내기

 

docker cp  hello-nginx:/etc/nginx/nginx/conf ./

 

 

 

ㅇ 컨테이너에서 변경된 파일 확인하기

 

docker diff hello-nginx

 

 

 

ㅇ 컨테이너 변경사항을 이미지로 저장하기

 

docker commit -a "Foo Bar <foo@bar.com>" -m "add hello.txt" hello-nginx hello:0.2

 

 

 

 

 

ㅇ 컨테이너 중지하기

 

docker stop [OPTIONS] CONTAINER [CONTAINER...]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하나 또는 여러개 (띄어쓰기로 구분) 중지할 수 있다.

 

 

ex) TENSORFLOW 컨테이너 중지

docker ps # get container ID of TENSORFLOW

docker stop ${TENSORFLOW_CONTAINER_ID}

docker ps -a # show all containers

 

* 도커 ID의 전체 길이는 64자리 입니다. 하지만 명령어의 인자로 전달할 때는 전부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를 들어 ID가 abcdefgh...라면 abcd만 입력해도 됩니다. 앞부분이 겹치지 않는다면 1-2자만 입력해도 됩니다.

 

 

 

ㅇ 중지된 컨테이너 다시 시작하기

docker start CONTAINER 

 

 

ㅇ 컨테이너 재시작

 

docker restart CONTAINER 

 

 

ㅇ 컨테이너 제거하기

 

docker rm [OPTIONS] CONTAINER [CONTAINER...]

 

 

ex)

docker ps -a # get container ID docker

rm ${UBUNTU_CONTAINER_ID} ${TENSORFLOW_CONTAINER_ID}

docker ps -a # check exist

 

ex) 중지된 컨테이너 ID를 가져와서 한번에 삭제

docker rm -v $(docker ps -a -q -f status=exited)

 

* CONTAINER  는 이름 또는 컨테이너 아이디 사용 가능

 

 

 

 

 

 도커가 다운로드한 이미지 목록 확인하기 (images)

 

docker images [OPTIONS] [REPOSITORY[:TAG]]

 

ex)

docker images

 

 

 

ㅇ 이미지 다운로드하기 (pull)

 

docker pull [OPTIONS] NAME[:TAG|@DIGEST]

 

ex) ubuntu 18.04 다운로드

docker pull ubuntu:18.04

 

이미지가 업데이트 된 경우는 pull명령어를 통해 새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ㅇ 이미지 삭제하기 (rmi)

 

docker rmi [OPTIONS] IMAGE [IMAGE...]

 

images명령어를 통해 얻은 이미지 목록에서 이미지 ID를 입력하면 삭제

docker rmi ubuntu 같이 이름만 지정하면 ubuntu 이름을 가진 모든 이미지가 삭제됨

이미지에서 (종료상태를 포함한) 파생된 컨테이너가 하나라도 있다면 이미지는 삭제할 수 없음

 

 

ㅇ 이미지 검색하기

 

docker search ubuntu

: ubuntu 관련 이미지들이 검색됨

 

 

 

 

 

ㅇ 컨테이너 로그 보기 (logs)

 

docker logs [OPTIONS] CONTAINER

 

 

ex)    --tail옵션으로 WORDPRESS 로그 마지막 10줄만 출력

docker ps

docker logs  --tail 10  ${WORDPRESS_CONTAINER_ID}

 

ex)  실시간 로그 확인 ( 중지는 ctrl-c )

docker logs -f ${WORDPRESS_CONTAINER_ID}

 

 

 

 

ㅇ 컨테이너에 접속하기

 

docker attach  CONTAINER

 

bash shell 이 실행된 컨테이너라면 입력 가능, 그외에는 출력만 볼 수 있음

exit 또는 ctrl-D 를 입력하면 컨테어나가 정지되므로 Ctrl-P , Ctrl-Q 로  컨테이너를 정지시키지 않고 빠져나온다.

 

 

 

 

ㅇ 컨테이너 명령어 실행하기 (exec)

: 실행중인 컨테이너에 들어가보거나 컨테이너의 파일을 실행하고 싶을 때 exec

 

docker exec [OPTIONS] CONTAINER COMMAND [ARG...]

 

ex) 실행중인 mysql 에 접속

docker exec -it mysql /bin/bash

 

# MySQL test

$ mysql -uroot

 

mysql> show databases;

+--------------------+

| Database             |

+--------------------+

| information_schema |

| mysql                  |

| performance_schema |

| sys                     |

| wp                     |

+--------------------+

5 rows in set (0.00 sec)

 

mysql> quit

exit

 

ex) 쉘로 완전한 권한을 얻는 방법말고 바로 mysql명령어를 실행

docker exec -it mysql mysql -uroot

 

# MySQL test

$ mysql -uroot

 

mysql> show databases;

+--------------------+

| Database            |

+--------------------+

| information_schema |

| mysql                   |

| performance_schema |

| sys                       |

| wp                      |

+--------------------+

5 rows in set (0.00 sec)

 

mysql> quit

 

 

 

 

 

ㅇ 컨테이너 업데이트

도커에서 컨테이너를 업데이트 하려면 새 버전의 이미지를 다운(pull)받고 기존 컨테이너를 삭제(stop, rm) 한 후 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새 컨테이너를 실행(run)하면 됩니다.

 

 

 

 

ㅇ 컨테이너 데이타 백업

 

컨테이너 삭제시 유지해야하는 데이터는 반드시 컨테이너 내부가 아닌 외부 스토리지에 저장해야 합니다. 

데이터 볼륨Data volumes을 컨테이너에 추가해서 사용해하면 해당 디렉토리는 컨테이너와 별도로 저장되고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습니다.

 

ex) MySQL이라면 /var/lib/mysql디렉토리에 모든 데이터베이스 정보가 담기므로 호스트의 특정 디렉토리를 연결해주면 됩니다.

# before

docker run -d -p 3306:3306 \

   -e MYSQL_ALLOW_EMPTY_PASSWORD=true \

   --name mysql \

   mysql:5.7

 

# after

docker run -d -p 3306:3306 \

   -e MYSQL_ALLOW_EMPTY_PASSWORD=true \

   --name mysql \

   -v /my/own/datadir:/var/lib/mysql \ # <- volume mount

   mysql:5.7

 

위 샘플은 호스트의 /my/own/datadir디렉토리를 컨테이너의 /var/lib/mysql디렉토리로 마운트 하였습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호스트의 /my/own/datadir디렉토리에 저장되고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최신버전의 MySQL 이미지를 다운받고 다시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동일한 디렉토리를 마운트 한다면 그대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ocker Compose ]

지금까지 도커를 커맨드라인에서 명령어로 작업했습니다. 지금은 간단한 작업만 했기 때문에 명령이 길지 않지만 컨테이너 조합이 많아지고 여러가지 설정이 추가되면 명령어가 금방 복잡해집니다.

 

도커는 복잡한 설정을 쉽게 관리하기 위해 YAML방식의 설정파일을 이용한 Docker Compose라는 툴을 제공합니다. 

 

 

ㅇ Docker compose 설치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1.9.0/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 test

docker-compose version

 

 

ㅇ wordpress 만들기

기존에 커맨드라인 명령어로 만들었던 wordpress를 compose를 이용해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빈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고 docker-compose.yml파일을 만들어 설정을 입력.

version: '2' 

services: 
   db: 
     image: mysql:5.7 
     volumes: 
       - db_data:/var/lib/mysql 
     restart: always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wordpress 
       MYSQL_DATABASE: wordpress 
       MYSQL_USER: wordpress 
       MYSQL_PASSWORD: wordpress 

   wordpress: 
     depends_on: 
       - db 
     image: wordpress:latest 
     volumes: 
       - wp_data:/var/www/html 
     ports: 
       - "8000:80" 
     restart: always 
     environment: 
       WORDPRESS_DB_HOST: db:3306 
       WORDPRESS_DB_PASSWORD: wordpress 
volumes: 
    db_data: 
    wp_data:

 

실행

docker-compose up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ex 대신 jellyfin 을 운용해보자 (@docker)  (0) 2019.11.07
Flex Media Server 설치 (@docker)  (0) 2019.11.07
ubuntu 시스템 정보 확인  (0) 2019.11.07
  

ubuntu 설치 후 기초 작업 ( 한글, green-tunnel , ... )

Posted by TheFanStory Linux : 2019. 11. 7. 11:18

[ ubuntu 최초 설치는 영문으로 ]

 

한글로 설지하면  Downloads -> "다운로드" ,  Documents -> "문서" 들로 바뀌어서 관리하기 불편하다.

 

 

[ 한글 설정 ]

 

프로그램 표시 ( 왼쪽 하단 "시작" 버튼 위치 )

ㄴ 언어지원

ㄴ 언어 설치/제거 에서 "한국어" 체크 확인

 

프로그램 표시 ( 왼쪽 하단 "시작" 버튼 위치 )

ㄴ 설정

ㄴ 지역 및 언어

ㄴ 언어 - "한국어" 선택  ( 폴더 이름 한글로 변경 안함 , 다시 묻지 않음 선택 )

ㄴ 입력소스 - "한국어(한글)" 추가, 나머지 모두 삭제

입력소스 - "한국어(한글)" 클릭후 톱니바퀴 ( ibus-setup 이 뜬다 ) 를 눌러 3번식, 한글/한자 키 설정

 

 

 

 

[ green-tunnel 설치 ]

 

정부의 인터넷 검열을 막기 위해 green-tunnel  설치

gui 버전도 있지만 cli 버전으로 간편하게 설치한다.

 

 

1. npm 설치

 

sudo apt-get install npm

 

 

2.  npm 으로 green-tunnel 설치

 

 

 

 

3. 서비스로 등록하여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1) /etc/systemd/system/green-tunnel.service  로 아래 내용을 작성 ( root 권한 필요 )

ㄴ port 8008 에서 8008 은 임의의 다른 포트를 지정하거나 , 생략하면 랜덤 ( green-tunnel 디폴트설정이 랜덤 ) 포트 할당됨.

[Unit]
Description=GreenTunnel bypasses DPI (Deep Packet Inspection) systems
After=network.target

[Service]
Type=simple
ExecStart=/usr/local/bin/gt --port 8008
TimeoutSec=15
Restart=alway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 ExecStart 의 경로는  whereis gt  명령어로 확인

 

 

 

2 ) 재시작시 실행되도록 등록

 

sudo systemctl enable green-tunnel

sudo systemctl start green-tunnel

 

 

3) green-tunnel 로딩 여부 확인

 

sudo 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

 

 

4) 네트워크 에서 proxy 설정

 

desktop 환경에서는 우상단 네트워크 아이콘을 통해 프록시 설정

이더넷(~~)에 연결됨

ㄴ (유선)네트워크 설정

ㄴ 네트워크 프록시

ㄴ 수동 - 127.0.0.1 , 포트 입력 

ㄴ 무시할 호스트 (localhost,127.0.0.1,::1) 삭제 ( 현재 사용중인 서버의 트래픽도 proxy 를 통하게 하기 위해 )

 

cli 환경에서는 아래 링크 참조

https://www.serverlab.ca/tutorials/linux/administration-linux/how-to-configure-proxy-on-ubuntu-18-04/

 

How to configure proxy settings on Ubuntu 18.04 - Serverlab

Overview Proxies are commonly found on business networks, but they are increasingly becoming popular for personal use. The following tutorial will show you multiple ways of setting your proxy in Ubuntu 18.04, allowing you to browse the Internet with additi

www.serverlab.ca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