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타오나스라고, 타오바오에서 중고 NAS 를 저렴하게 푼 적이 있었다.

보드와 케이스 사양이 제각각이라 A,B,C,D 형 등으로 구분했는데

공통적으로  intel J1900  (4 core CPU) 에 4GB RAM , 4 BAY , 기가비트랜 사양이었다.

 

문제는 이 타오나스가 아래와같은 일반적인 dsm7 설치 방법으로 진행할경우 이상한 에러메시지가뜨면서  dsm7 이 설치가 안된다.  

https://thefanstory.tistory.com/entry/Xpenology-Synology-DSM-7-%EC%84%A4%EC%B9%98-tinycore-redpill-mshell

 

Xpenology (Synology) DSM 7 설치 (tinycore redpill mshell)

참조 )  DSM 7.2v) Mshell로 헤놀로지 부트로더 빌드하기. (svrforum.com) DSM 7.2v) Mshell로 헤놀로지 부트로더 빌드하기.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에는 서버포럼에서 가장 기여를 많이해주고 계신 @화

thefanstory.tistory.com

 

버전마다 오류가 다양한데,  위 링크의 최신버전 tinycore 의 경우 부팅 하면 

"failed in waitforX" 가 뜨면서   X windows 가 안뜨고,  X windows 에서 실행되어야할 mshell 이 뜨지 않는다.

(이 에러는 VESA 모드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그래도 일단 부팅이 된 상태이니  menu.sh 를 실행하여 로더를 생성하면 될거같았지만,  빌드를 해도 로더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 빌드 후 USB 부팅 해도  부팅 선택 메뉴에  빌드된 로더 추가가 안되서  로더 부팅 못함 )

 

그래서 타오나스 C 형에서 DSM7 을 설치한 과정을 공유한다.

 

 

1. 시스템 설정

부팅 : Legacy 

SATA 설정 : AHCI

 

ㅇ  이하 모든 설명은  아래 서버포럼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니,   이미지가 포함된 자세한 내용을 보고싶으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https://svrforum.com/nas/801694

 

DSM 7.2v) ARPL-i18n(rr)으로 헤놀로지 부트로더 빌드하기.

rr 레포의 비활성화로 해외 다운링크 공유입니다. Xpenology rr img 다운링크[자료실] 달소 2023.11.29 @수달 님께서 공유해주신 링크입니다.https://wdfiles.ru/1s5uc/rr-23.1...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아까전

svrforum.com

 

 

 

 

2.  아래 링크에서 ARPL RR  최신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winImage32 로 USB 를 만들어서 부팅한다.

https://github.com/RROrg/rr/releases

 

Releases · RROrg/rr

Redpill Recovery (arpl-i18n). Contribute to RROrg/r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부팅후 선택가능 옵션에 Change vesa to text video mode 라는 설정이 있는데,   

선택을 할때마다 VESA 모드와  TEXT VIDEO MODE 가 전환된다.

 

VESA 모드 (기본설정)에서 오류가 있으면 이 모드를 TEXT VIDEO MODE 로  변경한 후,   *Configure loader 를 선택한다.

 

원래 부팅하면  DHCP 로 IPADDRESS 를 받아와야하지만  DHCP 로 IP 를 받아오는데 딜레이가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때가 있는데  init.sh 를 재실행하거나,   공유기에서 IP 할당 내역을 보고  HTTP://IP:7681  로 접속하면  빌드 메뉴 선택 화면이 뜬다.

 

참고로 기본 암호는 root / rr  이다.

 

USB 2.5Gb Lan ( Realtek ) 의 경우 드라이버가 지원되지 않아 IP 를 받아올 수 없었으니 내장 LAN 을 사용하여 로더를 빌드 하고, DSM 이 설치 완료된 후  사용해야한다.  DSM 이 설치된 이후에는 아무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하다.

 

 

3.  빌드

 

빌드화면은 mshell 과 거의 유사한데  타오나스는  J1900 이므로 유사한  DS918+ 를 선택해서 진행한다.

이것도 RR 의 버전에 따라 옵션 선택에 변화가 있는데 화면에 나오는대로 모델, 버전, 시리얼넘버, MAC, .. 등등 설정 가능한것만 설정해주면 된다.

(이 글을 작성 당시의 최신버전 기준으로 시리얼넘버 제너레이터나 MAC 설정등이 메뉴에 없었다)

 

중요한것은, Cmdline menu 를 선택하여 아래 항목을 추가해주어야한다.

 

SataPortMap=24

DiskIdxMap=00

MaxDisks=6

 

 타오나스는 외부 4베이 케이스지만 내부에 SATA PORT 1개,  mSATA 커넥터 1개 와  별도의 SATA 컨드롤러로 4개 로  총 6개의 HDD 를 지원한다.  

 

위 옵션들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사용 자체 문제가 없지만  시놀로지의 저장소 관리자 - 개요  - 디스크 정보에  4개의 HDD 베이 이미지가  표시가 되는데,   1,2 번이 내부 SATA 가 할당되고  실제 하드베이의  위쪽 2개가 3,4번으로 할당되어  하드베이 아래쪽 2개가 표시가 안된다. 

 

시놀로지 디스크 정보 이미지에 표시만 안될뿐  HDD 인식이나 사용에는 문제가 없지만 기부니가 안좋으므로

위 항목들을 추가하면,  외부 하드베이 4개가 모두 디스크 정보로 표시된다.

 

마음같아서는  디스크정보를 6개로 표시하고싶은데 어떻게 하는지를 모르겠다.

DS918+ 자체가 4베이라서  디스크정보 자체도 4베이로 고정이 된건지,   아니면 cmdline , Synoinfo , Edut user config file manually 같은 메뉴의 특정 파라미터를 바꾸면 될지 모르겠는데   방법을 알게되면 나중에라도 추가하겠다.

 

 

이 과정을 모두 했으면 "build loader" 항목은 선택하면  로더를 만들어지고  로더 생성후 재부팅을 하면

이전 부팅과 다르게 "loader" 항목에  디폴트 부팅으로 추가되고  부팅이 되면  이전에 했던것과 같이  IP:5000 으로 접속하여  DSM 7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DHCP딜레이때문에 IP를 받아오는데 실패했다는 메시지가 뜨면  공유기에 가서 IP 를 확인해서 접속한다.

 

 

4.  커뮤니티 패키지 소스 정리

 

DSM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패키지 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진행과정에서 중국어가 튀어나오는데, 커뮤니티 - 설정 - 패키지 소스에서  synocommunity  ( https://packages.synocommunity.com ) 만 남기고 다른 것을 삭제하면  장상적인 영어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5.  Torrent 설치

 

Docker 로 설치할수도 있지만 그냥 패키지 센터에서  Torrent 를 설치해서 사용해도 아무 문제 없다.

DSM 7 의 Torrent 패키지는 커뮤니티에서 설치할 수 있는데, 이전과 달리  메인폴더명만 입력가능하고,  서브폴더이름 선택 없이 디폴트 값으로 자동으로 설치된다.  ( /complete  , /incomplete , /watch )

 

이게 싫으면  /var/packages/transmission/var/settings.json 를 수정해야하는데 생성한 관리자 아이디로 SSH 접속하면 권한 이 없다는 에러메시지가 나온다.   이경우  비활성화된 admin 계정을 활성화하고 암호를 생성한 뒤  admin 으로 SSH 로 접속한 후  sudo -i  입력후 admin 암호를 입력하면 root 로 접속하여 모든 작업이 가능해진다.